“결국 부딪쳐 보는 것,
삶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모험을 하는 것”

Topic/디자이너라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일반 원칙

by kimdirector 2021. 1. 6. 12:57
효과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사용자가 기능을 쉽게 인식하고 예측하며, 일관성과 단순성을 유지해 오류를 최소화하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간의 인지와 신체적 특성, 환경, 제품의 정보 구조를 함께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효과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해서는 고려되어야 할 주요 원칙이 있으며, 이는 아래와 같은 10가지 원칙으로 요약될 수 있다.

 

가시성의 원칙 (Visibility)
제품의 주요 기능은 노출을 시켜서 조작이 쉽게 되도록 해야 한다

  • 어떤 기능이 가능한가?
  • 어떻게 조작하여야 하나?
  • 조작결과 상태가 어떠한가?


조작결과 예견의 원칙 (Natural Mapping)
사용자가 제품을 조작하여 작동시킨 결과를 조작 부위만 보고도 미리 예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공간적 유추, 문화적 표주는 형태적 유추

 

일관성의 원칙 (Consistency)
제품의 조작방식에 일관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기억할 수 있고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제한점 이용의 원칙 (Constraints)
제품의 조작상의 제한사항을 이용하여 가능한 선택의 여지를 줄여서 조작방법이 명확하도록 하여야 한다.

단순성의  원칙 (Simplicity)

  • 제품의 구조를 단순화시켜서 조작 시 요구되는 노력을 최소화시킨다.
  • 인간의 기억구조에 적합한 구조로 조작의 방법을 통일하고, 정신적 부담을 줄일 것.


지식 분배의 원칙 ( Knowledge in the World & Head)

제품의 조작에 요구되는 지식은 사용자가 익힐 필요 없이 제품 자체에 자연스럽고 명료하게 나타나도록 디자인되어야 하나,  사용자가 학습하여 지식을 익혀야만 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기억 구조에 적합하도록 학습하기 쉽고 기억하기 쉽도록 제품과 사용자 모두에게 상호 보완적으로 분배되어야 한다

 

조작 오류의 원칙 (Design fo Error)
일단 발생된 오류는 쉽게 발견될 수 있도록 하고, 발견된 오류의 수정은 최대한 쉽도록 디자인한다.

표준화의 원칙 (Standardiza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여러 원칙 적용이 어려워 원칙에 배치되는 임의적 디자인이 될 수밖에 없을 경우, 이를 표준화하여 한번 학습하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행동 유도성의 원칙 (Affordance)
사용자에게 제품을 어떻게 다루면 될 것인가에 관한 강력한 단서(조작의 가능성)를 제공하도록 한다

인체 데이터 적용의 원칙 (Anthropometry)
사용자의 성별, 연령, 인종 등에 따라 신체의 크기가 다양하므로 다양한 계층의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원

  • 인간 : 사회통념, 기술적 지식, 기기 고유의 지식, 단기 기억, 사용자의 상태
  • 환경 : 조작대상의 상태, 물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 공동 작업자
  • 제품 : 기기의 상태, 음신호 및 빛신호 매뉴얼, 디스플레이, 문자, 기호, 색체, 형태, 위치

출처 : 한국 HCI연구회

 

한국HCI학회

HCI연구실 디렉토리

hcikorea.or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