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탐구하면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살아가면서 탐구하는 것

지식의숲 4

‘표본실의 청개구리 외’ 인간 내면의 본질적 문제를 탐구하고,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하는 모습 속에서 인간성을 그린 작품

표본실의 청개구리 외 저 염상섭 · 역 김성해 · 지식의 숲(넥서스) · 2013.02.10한국소설 · 한국문학산책 01 2025.04.26 ~ 04.29 · 04시간 14분 학창 시절 교과서에서 배웠던 염상섭에 대해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을 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이제는 세월이 흘러 기억이 가물가물해진 이때, 염상섭의 소설들을 읽기는 쉽지 않은 때인 것 같다. 요즘에는 좋은 소설들도 많이 출간되고 있기도 하지만, 오래되고 낡은 한국 근대 소설을 굳이 찾아 읽으려는 사람이 많지 않은 것도 사실일 것이다. 염상섭의 소설 속에는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적인 상황과 광복 이후의 혼란한 시대에 놓인 인간의 고뇌가 느껴지는 것들도 있겠지만, 그 속에 담겨 있는 의미와 주제의식을 찾으려는 노력은 많은 ..

08:09:13·

'홍길동전' 최초의 국문소설로 사회비판적인 소설로써 우리나라의 근대 소설의 선구적 작품

홍길동전저 허균 · 엮 송창현 · 지식의숲 · 2013.06.10한국소설 · 한국문학산책 33 2023.12.01 ~ 12.01 · 1시간 59분 한국의 고전문학을 접하면 왠지 모르겠지만, 기분이 좋아진다. 아무래도 고전적인 활자에서 느껴지는 멋스러움이 있어서 랄까. 홍길동전을 읽으면서 그런 감정을 안고 읽다 보니 나도 모르게 왠지 낯설지 않게 읽어 내려갈 수 있었지만, 아무래도 현대에 맞게 편집되었다 하더라도 완전히 없애지 않았다는 점이 좋았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고전문학이라는 장점이 있는 것은 예스러움을 간직하고 있는 것이 좋은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홍길동전은 우리에게 그리고 현 세대와 이전 세대, 전전 세대들에게도 익히 잘 알려져 있는 소설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아주 어..

2023.12.08·

'사씨남정기'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한국적 권선징악에 대한 이야기

사씨남정기 저 김만중 · 역(해설) 김성해 · 지식의숲(넥서스) · 2013.06.10한국소설, 한국고전 · 한국문학산책 35 2022.04.19 ~ 04.22       내가 읽은 김만중의 두번째 소설 ‘사씨남정기'를 읽게 되었다. ‘사씨남정기'는 한글로 쓰인 몇 안 되는 소설로 서포 김만중이 유배지에서 어머니를 그리워하며 쓴 소설로 유명하다. 당시 시대적 배경은 숙종과 장희빈의 관계, 그리고 인현왕후와의 관계도에서 정치적인 풍자를 그렸다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 관계는 알 수 없다. 여러 가지 설이 나돌고 있기는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장희빈과 인현왕후의 관계가 소설 내용처럼 이루어져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해석하는 경향이 나타난 듯하다는 것이 중론인 듯하다. 어찌 되었던, ‘사씨남정기'는 당시 시대상과 ..

2022.04.26·

‘구운몽’ 하룻밤의 꿈 속 부귀 영화는 일장춘몽과 같으니 현실을 직시하자.

구운몽 저 김만중 · 역(해설) 김성해 · 지식의숲 · 2013.06.10한국소설, 한국고전 · 한국문학산책342021.12.22 ~ 12.28       한국 고전 소설을 읽은 것은 처음인 듯하다. 해외 유명 고전은 읽은 적은 여러 번이지만, 한국 고전소설은 처음인지라 기대도 할 법 하지만, 익히 알고 있는 소설이라 굳이 설명을 하지 않아도 될 듯하다. 《구운몽》을 알기 위해서 저자인 ‘김만중’에 대해서 잠깐 언급하고 지나가겠다.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이라면 잘 알고 있는 인물이기에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되지만, 혹시라도 모르는 사람들이 있을까 싶어 간단하게 소개하고 넘어가겠다. ‘김만중’은 본관은 광산이요 자는 중숙, 호는 서포라고 한다. 조선 숙종 때 인물로 리뷰 글을 쓰고 있는 《구운몽》과 〈사씨남..

2021.12.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