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천천히 걷기로 했습니다.
그동안 지나쳐 온 것들을 눈에 담으며 걷습니다.

Review/애니에 대해서

[시간을 달리는 소녀] 삶을 연장하는 편법

kimdirector 2018. 11. 22. 12:58 

 

 

 

 

 

시간을 달리는 소녀

時をかける少女, The Girl Who Leapt Through Time, 2006

 

애니메이션, 가족, 드라마, 판타지 / 97분

감독 호소다 마모루

 

 

 


 




줄거리
기다려, 지금 너에게 달려갈게...

저 마코토에게는 남들에게 말 못할 비밀이 하나 있어요. 타임리프라고 하는 능력이죠.어느 날 우연히 그 능력을 가지게 됐어요.카즈야 이모 말에 따르면 내 또래 여학생들에게 자주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더군요.아무튼 그 능력 덕택에 학교 성적도 좋아지고,지각도 안하고 잦은 실수도 훨씬 줄어들었어요.세상 만사가 다 내 손안에 있는 느낌이었죠.친한 친구인 고스케와 치아키도 저의 변화가 싫지 않은 것 같아요. 매일 셋이서 야구놀이하며 즐거운 나날을 보낼 수 있을 것 같았죠.


그런데 느닷없이 치아키가 저에게 고백을 하는 거에요."마코토, 나랑 사귀지 않을래?" 전혀 남자로 보이지 않던 녀석인데 저는 깜짝 놀라고 말았어요. 어떻게든 그 고백을 없애기 위해 다시 과거로 돌아가 결국은 그 고백을 듣지 않게 되었어요. 하지만 과거로 돌아가면 돌아갈수록, 일이 점점 꼬여만 가요. 친구인 유리와 치아키가 연인 사이로 발전하는걸 지켜보려니 마음만 씁쓸하고, 고스케를 짝사랑하고 있던 후배 여학생의 고민상담까지 받은 저는 어떻게서든 두 사람을 이어주기 위해 과거에서 현재로 몇 번을 오갔는지 몰라요. 게다가 제가 당할 뻔한 사고를 대신 고스케가 당하는 불상사까지…타임리프로 사람의 마음을 내 멋대로 바꾼 벌을 받고 있나 봐요. 전 이제 어떡하면 좋을까요?


시놉시스
미래로 간 첫사랑이 속삭이네. “여기서 기다릴게. 나의 지구를 지켜줘.”

곤노 마코토는 쾌활한 열일곱살 소녀다. 등굣길 산들바람은 단발머리를 희롱하고 턱걸이로 지각을 면해도 마음은 노래 부른다. 수업이 끝나면 두 친구 고스케와 치아키와의 즐거운 야구연습이 기다린다. 그러나 소녀는 지금 비탈을 달리는 중이다. 여름은 바야흐로 반환점을 돌고 있다. 아무것도 결정하지 않아도 좋았던 그녀의 시간은, 이제 끝나려 한다. 선생님은 문과냐 이과냐 진로를 묻고 치아키와 고스케는 그들을 사모하는 여학생들의 고백을 받을 참이다. 7월13일. 일본어 발음으로 ‘나이스 데이’라 불리는 날 마코토는 늦잠부터 시작해 시시콜콜한 재앙을 연달아 겪는다. 그리고 방과 뒤 과학실 구석에서 호두처럼 생긴 괴상한 물체 위로 넘어져 신비한 비전을 본다. 자전거를 달려 귀가하던 철도 건널목에서 마코토는 기차와 부딪힌다. “설마 죽겠냐 했는데 죽는구나.” 다음 순간 마코토는 자기가 시간을 뛰어넘어(time leap) 살아 있음을 발견한다. 곧장 마코토는 복권을 산다, 고 생각하면 그녀를 잘 못 본 거다. 신바람이 난 소녀는 13일의 실수들을 바로잡고 노래방 시간을 늘리고 저녁식사 시간에는 철판구이를 먹은 날짜로 돌아간다. 처음 마코토의 상의를 받고 “네 또래 여자아이들에게는 가끔 있는 일이야.”라고 일러줬던 독신녀 이모는, 이즈음 준엄한 교훈을 깨우쳐준다. “그런데 네가 이득 본 것만큼 손해 본 사람이 있지 않겠니?” 소녀는 하나의 행위는 반드시 결과의 연쇄를 낳는다는 무거운 사실에 눈뜬다. 고스케가 하급생의 고백을 받은 오후, 치아키는 돌연 묻는다. “우리 사귈래?” 당황한 마코토는 몇번이고 시간을 되돌려 없었던 일로 만들지만, 막상 치아키가 다른 소녀의 접근에 들뜨자 희미한 통증을 느낀다. 외면당한 감정은 사라지는 게 아니라 다른 출구를 찾아가는 것이다.

 

 

 

 

 

1965년 작가 쓰쓰이 야스타카가 탄생시킨 이래 오바야시 노부히코 감독의 동명 실사영화 등 다양한 각색을 거친 이 매혹적인 성장담은, 호소다 마모루 감독의 현대적 인물 해석과 유려한 애니메이션을 만나 탐스럽게 회춘했다. 비밀스러워 보이는 마코토의 이모는 바로 원작의 주인공(<프랙티컬 매직> 같은 마녀 가계(家系)인 셈이다). 한때 시간을 달렸던 그녀는 21세기의 조카에게 미소짓는다. “넌 나 같은 성격이 아니잖니? 누가 늦으면 먼저 만나러 달려가는 게 너잖니?” <시간을 달리는 소녀>의 ‘연기’는 실사 저리가라다. 10대들의 행동 패턴을 관찰하고 반영한 애니메이션은 소년, 소녀의 성격을 말없이도 전한다. 치아키는 늘 삐딱하게 몸을 기대고 마코토는 제자리에서도 겅중겅중 뛴다. 그들은 유혹에 약하고 미숙하지만, 단호하고 용감해져야 할 때를 정확히 안다. 소실점을 중앙에 둔 대칭구도를 자주 구사한 화면은 시간여행이라는 주제와 깊고 아늑하게 어우러진다. 운동장과 강가에서 미풍에 순응하는 소년, 소녀의 머리칼은 어린 잔디처럼 싱그럽다. 음악도 적절하다. 예컨대 정적인 장면에서 역동적 신으로 넘어갈 때 음악을 바꾸는 대신,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에서 각기 다른 템포의 소절을 쓰는데, 이러한 선곡은 환상적이지만 허황되지 않은 영화의 톤에 제격이다. <시간을 달리는 소녀>는 웃음을 주다가 감동을 주기 위해 인물의 성격을 구부리거나 급커브를 하지 않는다. 처음부터 맑고 명랑한 톤을 유지하며 해야 할 모든 말을 마친다.

 

 

 

 

 

마코토가 사고를 당하고 살아남았던 건널목은 기실 유년의 상징적 죽음이다. <시간을 달리는 소녀>는 더할 나위 없이 아름답게 그려진 더할 나위 없이 잔인한 이야기다. 그러나 이 보편적 ‘비극’은 뜻밖의 위로도 선사한다. 인생은 미래의 어딘가에서 반드시 나를 기다릴 안온한 품을 향해 무릎이 깨져도 달려가는 것이다. 또는 나를 향해 달려오고 있을 누군가를 건강한 모습으로 기다리는 일이다. <시간을 달리는 소녀>는 그렇게, 건널목에 아직 다다르지 않은 젊은이와, 그곳을 지나온 더이상 젊지 않은 이들을 격려한다. 분명 시간은 아무도 기다려주지 않는다. 그러나 <시간을 달리는 소녀>와 같은 영화를 보는 일은 삶을 연장하는 편법이다.

(글) 김혜리 vermeer@cine21.com

반응형
이전보기 카테고리 글 더보기